심리학에서의 "깨진 유리창 이론"은 필립 지모 토와 제임스 윌슨에 의해 제안된 개념으로, 사회적 무질서와 범죄의 증가에 대한 설명을 제공하는 이론입니다. 이 이론은 유리창이 깨지면 그 근처에 있는 다른 유리창들도 파괴되기 위해 시작한다는 개념에서 비롯되었습니다. 이를 통해 작은 범죄나 무질서가 큰 사회적 문제로 확산하는 과정을 설명하려고 합니다.
이 이론은 사회 환경에서의 작은 무질서가 더 큰 범죄나 불법 행위의 증가로 이어질 수 있다고 주장합니다. 작은 범죄나 소란스러운 행동이 마치 '깨진 유리창'처럼 다른 사람들에게 영향을 미치고, 그 영향이 확산하여 더 큰 범죄 행동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제시됩니다.
이 이론은 도시 환경에서 특히 유효하다고 여겨지며, 깨진 유리창 이론은 많은 도시에서 범죄를 줄이기 위한 정책으로 채택되었습니다. 예를 들어, 뉴욕시는 1990년대 초반부터 깨진 유리창 이론을 기반으로 한 범죄 예방 정책을 시행하여 범죄율을 많이 감소시켰습니다. 따라서 깨진 유리창 이론은 범죄 예방과 사회 안전에 대한 정책과 전략을 개발하는 데 도움을 주는 이론 중 하나로 간주합니다. 이를 통해 작은 범죄에 대해 조치를 취함으로써 사회적 무질서를 예방하고 범죄의 전파를 막을 수 있다는 입장에서 발전해 나가고 있지만 깨진 유리창 이론에 대한 비판도 있습니다. 일부 학자들은 이 이론이 범죄의 원인을 단순화한다고 비판합니다. 또한, 이 이론이 범죄자를 범죄의 피해자로 보는 경향이 있다고 비판합니다.
그런데도, 깨진 유리창 이론은 범죄 예방에 효과적인 방법의 하나로 여겨지고 있는데 낙서가 있는 벽은 범죄에 대한 신호를 보낸다는 것은, 그 지역이 방치되고 통제되지 않는 곳으로 인식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낙서가 있는 벽은 누군가에 의해 고의로 그려졌거나, 방치되어 있어 아무도 신경 쓰지 않는 곳이라는 것을 보여줍니다. 이러한 인식은 범죄자들을 유혹하여 범죄를 저지르게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낙서가 있는 벽이 있는 골목길은 사람들이 안전하지 않다고 느끼게 합니다. 이러한 두려움은 사람들이 그 골목길을 지나가는 것을 피하게 만들거나, 그 골목길에서 범죄를 저지르지 않도록 억제하는 역할을 합니다.
낙서가 있는 벽을 방치하지 않고, 적극적으로 단속하고 정비하는 것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낙서를 지우고, 깨끗한 벽으로 유지함으로써 그 지역이 관리되고 통제되는 곳으로 인식되도록 할 수 있습니다. 이는 범죄율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또 다른 예시인 쓰레기와 쓰레기통의 경우도 마찬가지입니다. 쓰레기와 쓰레기통이 있는 지역은 사람들이 안전하지 않다고 느끼게 합니다. 이러한 두려움은 사람들이 그 지역을 떠나게 만들거나, 그 지역에서 범죄를 저지르지 않도록 억제하는 역할을 합니다.
쓰레기와 쓰레기통을 방치하지 않고, 정기적으로 수거하고 청소하는 것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쓰레기를 치우고, 깨끗한 환경을 유지함으로써 그 지역이 관리되고 통제되는 곳으로 인식되도록 할 수 있습니다. 이는 범죄율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이렇게 깨진 유리창 이론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앞서 포스팅했던 심리학과는 다르게 이것은 범죄에도 연관이 되어있는 심리학인데요 이렇게 깨진 유리창 이론을 보고 느낀 점으론 사소한 무질서가 범죄에 미치는 영향은 생각보다 크다는 것입니다. 깨진 유리창이나 쓰레기, 낙서와 같은 사소한 무질서는 그 지역이 범죄에 대한 단속이 소홀하고, 주민들이 범죄를 염두에 두지 않는 곳으로 인식되도록 합니다. 이러한 인식은 범죄자들을 유혹하여 범죄를 저지르게 할 수 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깨진 유리창 이론이 범죄 예방에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사소한 무질서가 범죄에 미치는 영향은 생각보다 크며, 이를 방치하지 않고 적극적으로 단속하고 정비하는 것은 범죄율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사회적으로는 작은 범죄나 무질서가 사회적 규범을 훼손하고, 태도를 부정적으로 변화시키며, 사회적 분리와 고립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받습니다. 또한, 깨진 유리창이 방치되거나 무시된다면 이것이 무질서를 허용하는 것으로 간주하여 더 큰 문제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론은 작은 문제에 대한 조기 대응과 예방이 중요하다고 강조하며, 범죄 예방 정책이 작은 범죄에 집중하여 사회적 무질서를 방지하고, 동시에 전반적인 범죄율을 낮추는 데 효과적일 수 있다고 주장합니다. 이로써 깨진 유리창 이론은 범죄 예방과 사회적 안전 강화에 대한 전략을 모색하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특히, 우리나라는 빈부격차와 사회 양극화가 심각한 사회 문제로 지적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깨진 유리창 이론은 더욱 중요해질 것으로 생각합니다. 빈곤과 무질서가 만연한 지역은 범죄에 취약할 수밖에 없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지역에서 사소한 무질서를 방치하지 않고, 적극적으로 단속하고 정비하는 것은 범죄율을 줄이고, 안전한 사회를 만드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추가로 깨진 유리창 이론과 유사한 개념으로는 "쓰레기 더미 이론"이나 "도미노 이론" 등이 있습니다. 이들은 작은 문제가 큰 사회적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는 관점에서 깨진 유리창 이론과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쓰레기 더미 이론은 깨진 유리창 이론과 유사하게, 쓰레기 더미 이론은 작은 사회적 문제가 주변 환경에 악영향을 미치고, 이에 따라 더 큰 사회적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고 주장합니다. 도시나 지역의 공공장소에 쓰레기가 쌓이면, 이는 방치되거나 무시된다면 더 큰 환경 오염이나 안전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고,
도미노 이론은 작은 사건이 연쇄적으로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개념을 나타냅니다. 하나의 도미노가 넘어지면 그 옆의 도미노도 차례대로 넘어지듯, 작은 문제가 큰 문제로 이어져 갈 수 있다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이는 깨진 유리창 이론의 연쇄적 영향과 유사한 개념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이론들은 작은 문제와 무질서가 사회적으로 더 큰 문제로 이어질 수 있는 경향을 강조하며, 사회 안전과 질서를 유지하기 위해 예방적 조치와 개입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심리학]무의식 (0) | 2024.01.29 |
---|---|
[심리학]스탠퍼드 감옥실험 (0) | 2024.01.29 |
[심리학]트라우마(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0) | 2024.01.28 |
[심리학]조작적 조건화 (0) | 2024.01.26 |
[심리학]고정적 조건형성 (0) | 2024.01.26 |